날짜 : 02/12/2009
목포대학교 박물관장 최성락 교수는 2월 10일 “고대 한국, 중국, 일본 동북아 3국의 문화는 철기 시대에 이르러 진정한 의미에서 교류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 교수는 이날 주미한국대사관 코러스 하우스에서 열린 “동아시아 문화 교류에 관한 고고학적 관점”이란 주제 강연에서 “ 철기 시대에 중국의 문화가 한국과 일본으로 확산되었다”면서 이같이 언급했습니다.
최 교수는 또한 철기 시대 한국식 도자기가 일본에서, 일본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알려진 전방후원분이 한국에서 많이 발견되는 사실이 이 시기에 한국과 일본의 활발한 문화 교류를 나타낸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그는 일본의 전방후원분이 한국의 남서부 영산강 유역의 많은 곳에서 발견되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최 교수는 “전방후원분이 왜 한반도의 다른 지역이 아닌 영산강 유역에서 유독 많이 발견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 한국 고고학계가 풀어야 할 숙제”라고 강조했습니다.
일부 고고학자는 철기시대 한ㆍ중ㆍ일 3국간 문화 교류와 무역 활동이 왕성했던 점을 들어 이 지역을 동아시아의 지중해로 부르기도 한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중국과 한국의 문화 교류와 관련, 최 교수는 백제 무녕 왕릉의 건축 양식과 그 곳에서 출토된 금관 및 도자기들은 중국 남쪽 지방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또한 고대 한국과 일본의 관계는 문화적으로 아주 가까웠다면서 특히 한국의 청동기 문화가 일본의 야오이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습니다.





목포대학교 박물관장 최성락 교수는 2월 10일 “고대 한국, 중국, 일본 동북아 3국의 문화는 철기 시대에 이르러 진정한 의미에서 교류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 교수는 이날 주미한국대사관 코러스 하우스에서 열린 “동아시아 문화 교류에 관한 고고학적 관점”이란 주제 강연에서 “ 철기 시대에 중국의 문화가 한국과 일본으로 확산되었다”면서 이같이 언급했습니다.
최 교수는 또한 철기 시대 한국식 도자기가 일본에서, 일본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알려진 전방후원분이 한국에서 많이 발견되는 사실이 이 시기에 한국과 일본의 활발한 문화 교류를 나타낸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그는 일본의 전방후원분이 한국의 남서부 영산강 유역의 많은 곳에서 발견되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최 교수는 “전방후원분이 왜 한반도의 다른 지역이 아닌 영산강 유역에서 유독 많이 발견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 한국 고고학계가 풀어야 할 숙제”라고 강조했습니다.
일부 고고학자는 철기시대 한ㆍ중ㆍ일 3국간 문화 교류와 무역 활동이 왕성했던 점을 들어 이 지역을 동아시아의 지중해로 부르기도 한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중국과 한국의 문화 교류와 관련, 최 교수는 백제 무녕 왕릉의 건축 양식과 그 곳에서 출토된 금관 및 도자기들은 중국 남쪽 지방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또한 고대 한국과 일본의 관계는 문화적으로 아주 가까웠다면서 특히 한국의 청동기 문화가 일본의 야오이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습니다.




'WKOREAN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간) 조선 민중들의 분노와 함성 '왕을 참하라'-청장 백지원 (0) | 2009.03.03 |
---|---|
이임하는 이태식 대사 건승 기도회 열려-2/26/09 (0) | 2009.02.28 |
National Cherry Blossom Festival in Washington, DC (0) | 2009.02.24 |
극동방송 어린이합창단-워싱턴공연 (0) | 2009.02.23 |
한국법률상식 (0) | 2009.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