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숭모인 이문형
‘바다를 두고 맹세하매 고기와 용이 감동하고 산을 가리켜 맹세하매 풀과 나무도 안다’ 이순신 장군의 어록 중에서 뽑은 말입니다.
(誓海漁龍動 盟山草木知)
참혹한 전란 앞에 서서 자신에게 맡겨진 소명과 주어진 책무가 무엇인지 깨닫고 이 주어진 사명을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일 것이며 목숨까지도 바치겠다는 결연함이 베어 나오는 진정성 앞에 바다 속의 고기떼들과 용까지도 감동하고 초목마저 그의 마음을 알아차린다는 말입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412주기 기일에 즈음하여 이 말씀을 상기하는 것은 이 세상(현실)
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호국의 정신과 희생을 감수하는 헌신과 열정과 그 진정성이 못내 그리워서입니다.
극명한 위기 앞에서도 늘 국론은 분열되고 무책임한 말장난이 난무하며, 심지어 살생을 일삼는 적을 코앞에 두고도 주적은 미국이라고 외치는 자들의 고성이 고막을 터트릴 지경입니다.
국회의사당에서나, 청와대에서나, 학교의 강단에서나, 법정에서나, 남대문 시장에서나, 숭례문 앞길에서나 그 어디에도 조국의 내일을 위한 진정한 모습이 보이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우리를 슬프게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충무공 이순신 님의 숭고지순 한 뜻을 그리워하며 기리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우리의 정신과 혼의 아버지인 그를 숭모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1592년 12월 16일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412주기 기일입니다.(음력 11월 19일)
이 시대에 그분을 살려내어 잃어버린 민족혼을 살려내고 개인 이기주의에서 희생과 협동의 정신을 곧추세워야 합니다.
그것은 개인의 차원을 넘어 초등에서 고등교육은 물론 관공서나 모든 기업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호기든 위기든 주어진 상황 앞에서 철저한 책임감으로 최선을 다하고 공정한 대가 이상의 부당한 욕심을 부리지 않는 그 진정성을 살려내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 예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아마도 군 검열관인 서익의 무고로 억울하게 파직되어 집에서 쉬고 있을 때였으리라,
불우한 이순신을 보기 안타까웠던 유성룡이 조정의 인사권을 쥐고 있었던 이율곡을
찾아가 보라고 권고한 일이 있었는데 “나와 율곡이 같은 덕수이씨 문중이라 만나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으나 그가 전상(장관)에 앉아 있는 동안에는 옳지 않은 일이오”라며 끝내 만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어찌보면 가장 작은 일 중의 한 일화를 예로 내세운 것인데 이러한 일상의 모습으로서 평소의 마음가짐을 더 가까이서 더 깊게 느껴볼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풍전등화의 위기 속에서 목숨 던져 나라를 구한 것이 최대의 가치는 아니었습니다.
그렇다고 우리가 그분의 큰 모습을 잊었다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무모하게 목숨을 던지는 모습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가장 견디기 힘든 모든 아픔을 견디며, 가장 열악한 처지로서 7년 전쟁을 치르면서 23번 나아가 23번 모두를 승리로 이끌어냄으로써 불굴의 구국장수이기도 한 그분의 큰 모습도 그려봅니다.
“이 세상에 넬슨보다 위대한 제독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싶지는 않지만 있다면 패배를 모르는 동양의 가장 위대한 제독 이순신일 것이다”라고 말한 영국의 해군제독 <빌라드>나
1905년 당시 세계 초강이라던 러시아의 발틱함대를 격파하여 노일전쟁의 영웅이 된 <도고 헤이하치로>는 열화와 같은 일본 국민의 환영연에서 “나를 영국의 명 제독 넬슨에 비유하는 것은 무관하겠으나 조선의 이순신이 있는 한 세계 제일 운운하는 것은 실로 송구스러운 일이다”라며 우리의 그분에게 최상의 경의를 표한 일이나,
또 명나라 제독 진린이 노량해전이 끝난 후 이순신의 죽음을 전해 듣고 배 위에서 세 번이나 놀라 넘어졌으며 “하늘을 날줄삼고 땅을 씨줄 삼아 천하를 다스릴 재주와 무너지는 나라를 구해낸 공로가 있는 사람”이라며 찬사와 안타까운 마음을 토해낸 일도 우리는 잊을 수가 없으며 이 모두를 기억하며 이를 기리는 마음을 잃어서는 안 되겠습니다.
오늘 우리는 비 상식이 상식을 지배하는 현실 속에서 그분의 정신세계를 음미하고 혼의 경지를 동경하는 마음을 일으켜 세우며 추모하는 마음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 워싱턴지역에서도 ‘이순신 문학상’을 제정하여 5년(2004년~2008, 5회) 동안 지속하며 그분을 숭모하고 그분의 인성을 살려내기 위한 행사가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일반인에게도 주워지기도 한 응모의 범위를 3회부터는 청소년 만으로 압축하며 본격적인 인성교육의 틀에 초점을 맞추어 갔었지요.
5회부터는 재미한국학교의 협찬을 받아 미국 전역에서 우리 청소년 소녀들의 응모가 114명에
이르는 등 그 열기가 치솟으며 이순신의 충효, 우애, 애국, 성실, 책임감, 진정성에 대한 가치
를 깨닫는 계기로 번져가고 있었지요.
비록 안타깝게도 2년씩이나 중단되고 있기는 하나 뜻있는 자들의 가슴속에 그 불씨가 아직은 살아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으며 어떤 형식으로든 그 불씨를 통해 새로운 불길이 일게 될 것이 라고 믿습니다.
성웅 이순신 님이 떠나신 날로부터 412주기가 되는 때를 즈음해서 우리는 가슴속에 살아있는 불씨를 살려내야 할 것입니다
'포토맥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7 정전협정 61주년-이강원 (0) | 2014.08.06 |
---|---|
북한의 공포정치와 우리의 대응-강필원 (0) | 2013.12.28 |
“우리조국에 청백리는 없는가”-한성호 칼럼 (0) | 2010.08.29 |
“ 목사가 공산주의 자 라니! ”-한성호 칼럼 (1) | 2010.08.14 |
나무 정신대 벚꽃나무-이문형 (0) | 2009.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