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탈북자관련소식

숭실사이버대학 졸업한 탈북인 이명애 씨의 증언 여성백일장'에 참가한 한 어머니가 나무에 기대어 앉아 글을 쓰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00:00/11:17 탈북 여성으로 일하고 자녀들 뒷바라지하면서도 북한에서도 하지 못한 대학교육을 한국의 숭실사이버대학에서 ‘문예 창작’으로 공부해 지금은 시인으로서 남한사람들에게 북한의 실상을 ‘시’로서 전한다고 탈북인 시인 이명애 씨가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에서 밝혔습니다. 이 씨는 남북한 경험을 토대로 작은 통일의 디딤돌이 되고 싶다는 포부도 밝혔습니다. RFA 초대석 오늘은 탈북인 이명애 씨의 숭실사이버대학 다닌 것과 시인으로서의 포부에 대한 이야기 함께 나눕니다. 질문: 북한에서는 어떤 삶을 사셨습니까? 이명애: 제가 북한에서도 평탄한 삶을 살지 못했어요. 우여곡절이 많았지요. 다른 사람들도 우여곡절이 있었겠지.. 더보기
탈북자 출신 이명애 시인의 증언-1부 탈북자 출신 시인 ‘이명애 시집’. /RFA Photo 00:00/11:26 왜 탈북인으로 시를 썼을까? 하고 여쭤보니 남한과 북한에서 살면서 ‘남한 사람들에게 북한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알려줘야겠다’는 굳은 의지가 사이버 대학에 등록해 북한에서 하지 못한 대학을 다니며, 시를 쓰는 시인으로 활동하게 됐다고 이명애 씨가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에서 밝혔습니다. 이 씨는 시인으로 등단하면서 ‘연장전’ 제목의 시에서 한국도 응원하고 북한도 응원하지만 다만 북한 선수들은 지고 돌아가면 사상투쟁의 무대에 서게 될 걱정에 북한 응원도 하는 시를 썼다고 들려줬습니다. RFA 초대석 오늘은 망명 북한펜센터 회원이며, 탈북자 시인 이명애 시인의 남한 삶의 현장 이야기로 함께 합니다. 자신이 어떤 분인지 소개 부탁합.. 더보기
이지명 탈북 작가가 자유 세계서 바라본 북한 인권 통일전망대에서 한 관광객이 북한의 정치범수용소에 관한 TV 프로그램을 보고 있다. /AP 00:00/08:32 세계에서 가장 인권 사각지대에 사는 북한 주민들이 인간 본연의 인권을 갖고 살기를 간절히 바라는 탈북작가 이지명 씨, 자신은 자유 세계에 와서야 북한에서 얼마나 억압된 삶을 살았는지를 알았다고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에서 밝혔습니다. 이지명 씨는 북한 정권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바로 북한 내부의 독재상황과 심각한 인권침해상황이 나라 밖으로 새 나가는 것을 두려워 한다면서 국제사회가 북한인권상황이 개선되도록 도와주기를 바랬습니다. 탈북작가 이지명 씨가 스페인 국영방송과 회견하고 있다. /이지명 제공 RFA 초대석 오늘은 탈북작가 이지명 씨와 ‘자유 세계에서 바라본 북한 인권’ 제목으로 이야기 나눕니.. 더보기
탈북자 출신 이지명 작가가 보는 남, 북한, 그리고 그의 소설 이지명 작가의 책 ‘두형제 이야기’ /RFA Photo 00:00/00:00 북한에서 희곡 작가였던 이지명 작가, 지금은 남한에서 활발한 작품활동으로 북한에서는 상상할 수도 없는 자유 문인으로 그리고 지금은 북한의 인권상황을 그 누구보다도 자신의 작품에서 잘 표출해 내 한국 사회로부터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지명 작가는 최근 장편소설 ‘두형제 이야기’를 출간했습니다. 이 작품은 아버지는 같지만 어머니가 다른 이복형제로서 이념상 차이로 인한 갈등으로 서로 싸우고 죽이려고까지 하는 사상의 대립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이지명 작가가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에서 밝혔습니다. 그와 함께 이 작가는 남쪽에서 북한에 그 어떤 평화의 손길을 내밀고, 그 어떤 경제적 이익을 준다 할지라도 북한 정권이 추구하는 사상과 노.. 더보기
안재철의 6.25전쟁 사진 속 사람 찾기 캠페인 (1) 2019-10-30 인쇄 공유 댓글 이메일 안재철 씨가 지난 9월 자유아시아방송과 영상 회견을 하고 있다. /RFA Photo-이규상 00:00/00:00 지난 2001년부터 ‘생명의 항해 6.25전쟁 사진전’을 한국과 미국에서 5,200여 회 해온 것은 ‘참전용사들과 가족들에게는 보은’의 행사로, 그리고 ‘전쟁을 모르는 세대에게는 전쟁의 참혹함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라고 월드피스 프리덤 유나이티드의 안재철 대표가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에서 밝혔습니다. 안재철 대표는 지난 2001년 이후로 6.25전쟁에 관한 자료를 모아 오면서, 6.25전쟁 당시 유엔 특히 유엔군의 주축이 된 미국과 미국 정부가 보여준 전쟁 중에 꽃피웠던 휴머니즘을 알리는 활동이었다고 회고했습니다. RFA 초대석 오늘은 6.25전쟁 사진.. 더보기
탈북인권운동가 지성호 씨 북한 땅에 자유를 만들 것 워싱턴-이현기 leeh@rfa.org 2019-10-02 인쇄 공유 댓글 이메일 지난 9월 18일 AEI(미국 기업연구소)에서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하고 있다. RFA Photo/ 이규상 00:00/00:00 남북한 그리고 해외동포 청년들로 지난 2010년 결성되어 북한인권을 위해서 일하고 있는 단체 ‘NAUH(Now Action & Unity for NK Human Rights) 지성호 대표가 미국을 방문해 지난 9월 18일 미국기업연구소(AEI)와 북한인권위원회(HRNK)가 주관한 북한 관련 행사에 증언자로 참가한 후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회견에서 자신이 대표로 있는 NAUH(나우) 청년들과 함께 ‘북한 땅에 자유를 만들 것’을 다짐했습니다. RFA 초대석 오늘은 탈북인권운동가 지성호 씨를 만나 봅니다. .. 더보기
전 북한 농업과학원 연구원 출신 탈북자 이민복 씨 북한 민둥산 원인 2013년 2월 자유아시아방송을 방문한 대북풍선단의 이민복 단장. /RFA PHOTO-이현기 00:00/00:00 북한은 국가경제와 주민경제 두 개가 있는데 점점 날이 갈수록 주민 경제가 국가 경제를 압도해 가고 있다고 이민복 씨가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에서 밝혔습니다. 이 씨는 그러면서 북한 주민은 북한 돈 보다는 중국 돈과 외국 돈을 장마당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했으며,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다락 밭 때문이 아니라 화목, 땔감이 없어서 나무가 조금만 자라도 베어다 때기 때문에 민둥산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RFA 초대석, 오늘은 전 북한 농업과학원 연구원 출신 탈북자 이민복 씨와 회견을 통해 북한 민둥산과 개혁개방 가능성에 관한 이야기 나눕니다. 질문: 북한의 민둥산의 원인에 대해 지난.. 더보기
탈북자가 미국 이민 가는 방법은 (2) 자유아시아방송과 인터뷰하고 있는 전종준 변호사. /RFA PHOTO-이규상 00:00/00:00 미국 이민 변호사인 전종준 씨는 미국의 북한인권법이 제정된 이후 난민으로 미국 입국 탈북자는 2019년 올해 8월 기준 218명이라면서 한국정착 탈북자도 3만 명이 넘어서면서 미국 이민을 갈 수 있는지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에서 밝혔습니다. RFA초대석 오늘도 전종준 변호사로부터 지난 시간에 이어 탈북자가 미국 이민 가고자 할 때 어떤 방법이 있는지 인터뷰를 통해 알아봅니다. 질문: 북한사람도 정치적, 종교적 박해를 이유로 미국에 난민으로 들어올 수 있습니까? 전: 북한인권법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원래 정치적 망명은 정치적인 이유, 그다음에 종교라든지 정치적 의견, 인종차별 이.. 더보기
탈북자가 미국 이민 가는 방법 - 1부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하고 있는 전종준 변호사. Photo: RFA K100919FE-HK.mp3 00:00/00:00 미국 이민 변호사인 전종준 씨는 미국의 북한인권법이 제정된 이후 난민으로 미국 입국 탈북자는 2019년 올해 8월 기준 218명이라면서 한국정착 탈북자도 3만 명이 넘어서면서 미국 이민을 갈 수 있는지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에서 밝혔습니다. RFA초대석 오늘은 전종준 변호사로부터 탈북자가 미국 이민 가고자 할 때 어떤 방법이 있는지 인터뷰를 통해 알아봅니다. 질문: 남한 정착 탈북자들이 수가 늘어나면서 미국에 이민 가고자 하는 탈북자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전: 예 요즘 관심이 많은 이슈 중의 하나입니다. 그 말씀을 드리기 전에 먼저 저하고 탈북자와 어떤 인연이 있었.. 더보기
탈북자 신학박사 박예영 씨의 꿈과 소망 박예영 씨가 통일코리아협동조합 총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 통일코리아협동조합 K092519FE-HK.mp3 00:00/00:00 북한에서 지난 1997년 ‘고난의 행군’ 시절 중국으로 탈북했다가 강제 북송과 2001년 재탈북해 한국에서 신학대학과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지난 5월 초 워싱턴 D.C. 소재한 웨슬리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박사 학위를 받은 박예영 씨 이제는 탈북인들과 함께 새로운 삶을 사는 게 꿈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과 회견에서 밝혔습니다. RFA 초대석 오늘은 탈북자 신학박사 박예영 씨로부터 앞으로 살아갈 꿈과 소망의 이야기로 함께합니다. 질문: 굉장히 바쁘게 사신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일들을 하는지 궁금한데요. 박: 그렇지요. 원래 대한민국의 모든 사람이 바쁘게 살지 않습니까? 저도 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