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향민어르신들

실향민들-미국 워싱턴 일원 실향민 1세들 “죽기 전 고향 방문이 가장 큰 소망”

2009-04-08
오디오
오디오 (다운받기
북한에 고향을 둔 워싱턴 일원의 실향민들은 머나먼 이국땅에서 살면서 가장 바람이 자유롭게 북한을 방문해 편안한 마음으로 고향을 찾는 일이라고 말합니다.

RFA PHOTO/이현기

(이산가족들이 2006년 9월 서울에서 이산가족 상봉과 생사 확인에 적극 나설 것을 정부에 촉구하는 시위 모습.)

실향민들의 애절한 사연과 가족을 그리워하는 간절한 소망을 소개하는 ‘보고 싶은 얼굴’ 오늘은 미국의 워싱턴 일원에 사는 실향민 1세들의 ‘고향 그리는 마음’을 전해 드립니다.

최근에 만난 실향민은 “고향은 통일돼야 가지 뭐 가겠어요”라는 투정 섞인 말로 고향을 그리는 착잡한 마음을 전해 줬습니다. 실향민 1세들은 이제 나이가 평균 70살이 넘은 고령입니다. 고향에 가고픈 마음은 간절하지만, 고향에 갈 수 없는 안타까운 마음을 떨어 놓습니다.

실향민 1: 통일이 돼야 하는데 큰 걱정입니다. 죽기 전에 통일이 돼야 하는데, 누구나 소원은 통일이고 여러 가지로 걱정이 많습니다.

또 다른 실향민은 죽기 전에 통일이 되어서 조상의 묘를 둘러보는 게 가장 큰 소망이라고 말합니다.

실향민 2: 통일되어서 죽기전에 한번 내 고향땅 갔다 오는 것이 바람입니다. 내 고향땅을 밟아보고 우리조상의 묘 한번 들러보는 것이 제일 큰 소망입니다.

17살 어린 나이에 북한에서 나왔다는 실향민 노인도 죽기전에 고향에 가보는 간절한 소망은 다르지 않았습니다.

실향민 3:
17살 어렸을때 북한에서 나왔습니다. 고향 잘 몰라요. 우리 고향 군 소재지 사람들 500명 다 죽고 20명밖에 살아남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소식을 몰라요. 너나 나나 할 것 없이 그때 나이에 배우지도 못하고 살려고 남한으로 넘어와 살았습니다. 소망은 죽기 전에 통일이 됐으면 원이 없지요. 통일이 돼서 가장 가고 싶은 곳은 고향뿐이겠지요. 부모 형제다 죽었으니까? 그래도 통일이 되면 고향 한번 들여다보는 게 소원이지요.

지금도 자주 고향 꿈을 꾼다는 다른 실향민은 죽는 날까지 ‘고향은 잊을 수가 없다’ 면서 어머니는 이미 돌아가신 것 같은데 어디서 돌아가신지조차 알 길이 없다고 한맺힌 하소연을 합니다.

실향민 4: 잊을래야 잊을 수도 없고 고향이 자꾸 꿈에 나타나서 죽는 날까지 고향을 잊을 수는 없습니다. 아버지 산소가 북한에 있고 어머니도 돌아 가신 것 같은데 어디서 운명하셨는지 알 수가 없어 가슴 아프고 죽는 날까지 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워싱턴 인근에 사는 실향민들의 고향 그리는 마음을 함께 들었습니다.

이어서 고향에 띄우는 편지 시간입니다.

오늘은 서울에 사시는 김수영 씨가 함경도가 고향인 할아버지 김기순 씨를 찾는 사연입니다.

안녕하세요. 저의 이름은 김수영입니다. 6 25때 헤어진 할아버지를 찾고 있습니다 할아버지의 이름은 김기순 씨 고향은 함경남도 영흥군 새개입니다. 저희 할아버지는 90이 넘으셨습니다. 6 25당시 아내와3 살 난 아들 영태를 두고 남한으로 장사 간다고 자동차를 몰고 남한으로 왔다가 전쟁 중에 이별이 되고 말았다고 할머니 한 테서 어렸을 때 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할머니는 이미 10년 전에 돌아가셨고, 그때 3살짜리 아들도 환갑이 지났습니다. 92년도인가 93년도인지 할아버지가 저의 할머니와 아버지를 찾는다는 소식이 있었지만 그 당시 연락이 되지 않아 아쉽게도 소식을 알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로 찾으려고 노력하였으나 찾기가 쉽지않았습니다. 이제는 할아버지도 90이 넘으셨으니 살아 계실지 돌아가셨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혹시라도 저희 할아버지의 자제분들이라도 아시는 분이 있으면 연락해 주시기를 부탁합니다. 한평생을 외롭게 보내신 저의 아버지에게 할아버지 소식을 전해 드리고자 자식 된 입장에서 이글을 올립니다 할아버지 이름은 김기순 이고요 저의 할머니 이름은 조순녀 아들은 김영태입니다. 할머니 고향은 경상남도 창영군 교화동이라 들었습니다. 혹 저희 할아버지에 대한 소식을 아시는 분은 저희 방송으로 연락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보내 주실 주소는 서울 중앙우체국 사서함 4100호 자유 아시아 방송이나 이 메일 nk@rfa.org 로 보내 주시면 됩니다.

자유아시아방송의 ‘보고 싶은 얼굴’ 오늘은 실향민 1세들의 고향 그리는 마음을 전해 드렸습니다. 제작 구성에 이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