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재:우리역사문화의 요람-이문형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30)-이문형시인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30)

                                    <참역사문화 운동>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문 형(워싱턴 문인회)

 

<환국본기> , 환국(桓國)에는 오훈(五訓)이 있었으니 교육의 지표로 삼아
개인과 
가정과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데 바탕이 되었고 또
신시
(神市)에는 오사(五事)있었으니 아래와 같다.


五 訓

誠信不僞(성신부위) : 성실하여 거짓이 없어야 한다.

敬勤不怠(경근부태) : 부지런하여 게으르지 말아야 한다.

孝順不違(효순부위) : 효도하고 순종하여 부모에게 어김이 없어야 한다.

廉義不淫(염의부음) : 깨끅하고 의로워 음란하지 말아야 한다.

謙和不鬪(겸화불투) : 겸손하고 온화하여 다투지 말아야 한다.


五事

1, 우가(牛加)는 곡식을 주관하고

2, 마가(馬加)는 임금의 명령을 주관하고

3, 구가(狗加)는 형벌을 주관하고

4, 저가(猪加)는 병을 주관하고

5, 양가(羊加)는 선악을 주관한다.

또 단군조선에서는 아이가 태어나 자라는 동안 인류를 다스릴 수 있도록
인간 근본사 상과 인간의 도리를 어른들이 행동으로 보여주며 가르쳤던
육아법이 있었으니 단동칠 훈
(檀童七訓) 또는 십훈(十訓)이라 하였으며 이는
아래와 같다
.


단동칠훈(檀童七訓) 또는 십훈(十訓)

  1. 도리도리(道理道理) : 목을 좌우로 돌리는 동작으로, 태어나서 귀, , , 코로서
    자연을 감지하게 되면 제일먼저 도리도리 운동을 시키는데 인체 중 중요한 부분

인 목에 운동을 시켜 건강관리를 일깨웠으며, 나아가 목을 좌우로 돌림으로서
사람의 도리와 세상의 이치를 직접 보고 느끼고 사람됨을 배우면서 자라라는 뜻
.

  1. 건지곤지(乾知坤知) : 왼손바닥에 오른손 검지로 찍는 동작, 건지는 하늘의 뜻,

곤지는 땅의 뜻, 곧 하늘과 땅의 뜻을 알아야 한다는 교훈.

  1. 짝짝궁짝짝궁(綽綽窮 綽綽躬) : 양손바닥을 마주 치는 동작(박수치는 모양)으로
    이는 음양
    (陰陽) 의 조화와 원리를 말하는 것으로 모든 만물이 태극에서 음양의
    조화로 생성되는 것
    , 아버지와 어머니의 조화 속에서 내가 태어나고, 사람이
    살아 가면서 조화를 잘 이루고 살아가야 함을 가르치는 교훈
    .

  2. 깍궁깍궁(覺躬覺躬) : 몸을 숨겼다가 나타내는 동작으로서 자신의 존재를
    주위로 부터 인식시키는 동작이며 자신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면서 개체로서의
    기능을 알 려주는 교훈
    .

  3. 훨훨(虛虛) : 양손을 펴고 손바닥이 아래로 가게 하는 전후를 움직이는 동작,
    아 이들이 자라면서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느끼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
    소유욕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경계하고 마음을 훨훨 털어버릴 줄 알아야
    한다는 교훈
    .

  4. 잼 잼(潛 潛): 잠길 잼(잠길잠 潛)으로서 재물을 의미한다고 하였으며
    양손바닥을 쥐었다 폈다 하는 동작인데 이것은 마음을 비우고 살아가면서도
    필요에따라 정당 한 것이라면 취할 줄 알아야 한다는 교훈
    .(쥘 줄 알았으면
    놓을 줄도 알아라는것
    )

  5. 따로따로 (他路他路) : 홀로 서는 동작, 기어다니던 아이가 섬마섬마를 하며
    일어 서는 동작을 하게되면 독립성을 일깨워 주어야 한다는 교훈
    .


여기까지가 단동 7훈으로 필자가 확보한 자료인데 지난 본보 2008104일자
‘단동십훈’을 아시나요
?라는 제하의 칼럼이 실렸는데 ‘단군이 전한 놀이육아법’
이라

는 부제를 달아 10가지 교훈을 전한 바 있다. 7훈에 이어서 8, 9, 10훈은
그 내용 이다
.


  1. 섬마섬마(西摩 西摩) : 남에게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 굳건히 살라는
    뜻으로 아이 를 일어서게끔 독려하는 것이다
    . 손바닥 위에 올려 세우기도 한다.

  2. 어비어비(業非 業非) : 아이가 해서는 안되는 것을 할 때 하는 말로서 커서도
    도리에 어긋남이 없어야 한다는 교훈
    .

  3. 아함아함(亞含 亞含) : 손바닥으로 입을 막는 시늉을 하는 것으로 두 손을
    모아 입을 막은 ‘아
    ()’자의 모양처럼 입조심 하라는 교훈.


이와 같은 선조들의 하늘에 대한 절대적 순응과 조상에대한 공경과 후손교육을 위한
지혜가 지극하고 정성스러웠음에도 현세의 우리들은 선조 또는 조상에 대한 얘기듣기를
거부한다
. 무슨 부정한 얘기나 들은 것처럼 달가워 하지 않는다.

세계화를 외치면서 민족이라는 말만으로도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지난 1, 익산의 미륵사지에서 무왕시대의 유물이 출토됐다는 소식을 접하고
부인 과 함께 달려온 일본 치바현
(千葉顯)의 후나바시시(船橋市)에 사는 69세의
오우치 기 미오
(大內公夫)씨의 경우가 오히려 돋보인다.

백제 성왕(聖王)의 셋째 왕자 임성(琳聖) 태자의 45대 후손이라는 그는 백제 무왕이
묻힌 곳으로 추정되는 능을 찾아
, 준비해 온 ‘조상님의 능에 드리는 영광의 인사’
글 을 읽었으며 참배를 마친 뒤
100만 엔(약 천삼백만 원)의 성금까지 내놓으며
문화재 보호를 위해 써달라고 했다
.

임성태자가 일본에서 보여준 업적을 소중히 여기며 자랑스러운 태자의 후손임을
잊지 않고 대대손손 살아왔다는 그는 익산에 직접 가서 찬란한 선조의 문화를
느껴보고 싶 었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 천손의 후예다운 숭조정신의 일면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