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34)
<참역사문화 운동>
이 문 형(워싱턴 문인회)
나라를 위하는 길에 사기(士氣)보다 먼저인 것이 없고, 사학(史學)을 하는 것보다 더 급한 것 이
없으니 그 까닭은 사학이 밝지 아니하면 사기를 펼 수 없고, 사기를 펼 수 없으면 나라의 근본이
흔들리고 정사(政事)와 법령(法令)이 갈라진다…..
나라는 역사와 더불어 존재하며 사람은 정사와 더불어 갖춰지고 드러나는 것이니…
바른 길도 사람다운 생각도 다 없어지고, 나라꼴도 나라 정신도 다 사라져버린 후에 나라를
위한다는 이들은 도대체 어떻게 스스로만 안전하다고 하겠는가…..(中略)
신시(神市)에 하늘을 여니 이로부터 나라의 계통이 이어지게 되었고, 나라의 계통이 이어짐에
나라가 바로 서게 되었으며, 백성도 다스리는 계통이 있음으로써 모여들게 되었으니 역사가
어찌 중요하지 않겠는가? 이런 까닭에 기쁘게 단군님의 역사를 쓰기 시작한다.
효경대왕(孝敬大王, 공민왕) 12년(1363) 계묘 10월 3일,
홍행촌(紅杏村)의 늙은이가 강도(江都)의 해운당(海雲堂)에서 쓰다.
고려말 국무총리를 지내신 행촌 이암(1297~1364)께서 <단군 세기>를 지으며 쓴 서문 중의
일부이다.
오늘 우리에게 과연 선비의 꿋꿋한 기개가 있으며 사학(史學)을 최 우선 과제로 삼아 나라의
근본을 튼튼하게 하고 있는지, 그래서 나라가 역사와 더불어 어떠한 고난과 시련 앞에서도
한 점 두려움 없이 견딜 수 있는 든든한 모습인지 돌아보며 성찰을 해보아야할 것이다.
행여 바른 길도 사람다운 생각도 다 없어지고, 나라 꼴도 나라 정신도 다 사라져버리고 국가
존망의 위기 앞에 서있는 꼴은 아닌지, 국가의 안전과 유익이 우선하는 사회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한데 과연 무엇이 우선이고 무엇이 차선인지를 고뇌하고 있는 세태인지 묻고 싶다.
제11세 단군 도해(道奚)왕검
도해왕검께서는 부왕 노을왕검께서 세상을 뜨신 기원앞 1893년에 보위에 올라 57년 동안
재위하였다. 이때 단군조선은 개국한지 400년이 지나는 동안 나라의 정치는 날로 신선해지면 서
백성들의 생활 역시 꾸준히 나아지기는 했지만, 한편으로는 조상 때부터 정신적 지주가 되었 던
신교문화(神敎文化)의 윤리적 질서가 퇴색되어가고 있었다.
임금께서는 태자로 세운 아한(阿漢)의 선생인 태자태부 유위자(有爲子)의 상소에 따라 오가
(우가, 마가, 구가, 저가, 양가)에게 명하여 열 두 명산에 소도(蘇塗)를 짓게하고 제단 주변에
박달나무를 둘러심게 하였으며 그 중 제일 큰 나무를 골라 환웅(신시 1대 거발환)의 상(雄常)
으로 삼는 등 퇴색 되어가는 숭조정신과 윤리적 질서 확립에 성심을 쏟았다.
사흘 동안 언행을 삼가하고 이레동안 강론하니 바람이 온 세상을 움직였다. 그 뜻을 밝히는
글 을 써서 돌에 새겼다. 그 내용을 원문 생략하고 <단군조선 47대사>와 <환단고기>를 종합
하여 옮겨본다.
** 하늘은 아득하고 오묘하여
그 道는 온누리에 막힘이 없이 가득하리니
모든 일은 다만 참된 것으로부터 비롯됨이라
땅은 쌓아 간직하므로 큰 것이어서
그 道는 어디에나 막힘이 없이 드러나리니
모든 일은 다만 부지런히 힘쓰는 것으로부터 비롯됨이라
사람은 지혜와 능력이 있어 큰 것이어서
그 道는 어디에서나 막힘이 없고 고르게 구별함이니
모든 일은 다만 조화를 이룸으로부터 비롯됨이라
그렇기 때문에 神은 정성스러운 마음에 내려와
성품은 광명을 이루어 세상에 바른 가르침을 펴서
온 누리를 이롭게 하나니(弘益人間) 이에 돌에 이 글을 새겼다.
** 소도(蘇塗) 옆에는 경당을 세워 삼윤구서(三倫九誓:삼윤-愛,禮,道/
구서-孝,友,信,忠,遜, 廉, 義,知,勇)를 가르쳤다.
이렇게 하여 단군조선의 정신문명이 나라밖까지 떨치게 되자, 이해 여름 하나라 14대
임금 근 (기원앞 1990~ 1880)이 사절을 보내어 방물(方物)을 바쳤다.
그러나 나라에는 좋은 일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부여후(夫餘候)가 거느리는 지방에서
알유의 난이 있어 매우 시끄러웠다.
임금은 웅가(熊加)를 명하여 구려(句麗)와 진번의 군사를 이끌고 가서 평정하게한 일도
있었으 니, 이를 바탕으로 임금께서는 국민개병제(國民皆兵制:장정들은 다 병역에 종사)를
실시하였다.
을유년(기원앞 1836)에 송화강(松花江)가에 기계를 만드는 작청(作廳)을 두고 각종 배와 기계
를 만들었는데 발명품 수가 26가지 이상이 된다.
임금께서는 재위 57년의 병술년(기원앞 1835)에 세상을 뜨시니 만백성이 슬퍼하였다. 태자
아한(阿漢)이 보위에 올랐다.
'연재:우리역사문화의 요람-이문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36)-이문형시인 (0) | 2010.01.28 |
---|---|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35)-이문형시인 (0) | 2010.01.09 |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33)-이문형시인 (0) | 2009.12.08 |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32)-이문형시인 (0) | 2009.11.21 |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31)-이문형시인 (0) | 2009.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