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6)-이문형시인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6) 이 문 형(워싱턴 문인회)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6) 이 문 형(워싱턴 문인회) 많은 역사학자들이 그동안 기원앞 2333년 단군조선 건국을 부인하는 근거로 청동기 시대와의 연관성을 들고 있다. 이 청동기 시대를 중시 하는 이유는 고조선의 역사를 실재 역사로 보느냐 마느냐의 기준점이 되기 때문이다. 이 청동기 시대의 상한 연대를 근거로 고조선의 건국을 실재 역사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많은 학자들이 주장하고 있다. 고조선(단군조선)앞 신시의 역사를 다루면서 갑자기 단군조선의 건국이 신화냐 실재 역사냐를 논하는 것은 우리 사학계의 학자들의 편견이 얼마나 극심 하였느냐는 문제점과 고고학적 고증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우리의 편협한 역사관이 .. 더보기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5)-이문형시인 우리 역사문화의 요람(搖籃) (5) 이 문 형(워싱턴 문인회) [고기(古記)의 기록 원문 중 ‘신단수하 위지신시 시위환웅천왕야(神壇樹下 謂之神市 是謂桓雄天王也)의 신단수하(神壇樹下)에 대하여 많은 학자들이 신단수 아래로, 박달나무 아래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학설들에 의하여 중학교역사교과서에 “환웅은 무리 3천을 이끌고 태백산 꼭대기 신단수 아래로 내려와… ‘라고 기록하며 역사가 아닌 신화로 교육하고 있다. 이는 ‘신령스러운 박달나무’라는 다른 뜻으로 사용한 신단수하(神檀樹下: 박달나무 나무아래)와 위의 신단수하(神壇樹下: 천제께 제사지내는 제단)를 오해 함으로써 비롯된 것이다. 김종서 박사는 이어서 [이 신시 후예들이 독립하여 내몽고, 하북성, 요녕성, 길림성 일대에 분포되어 있는 흥륭문화(興隆文化:.. 더보기
겸손과 감사의 계절 12월-채수희 워싱턴 여류수필가협회 강물이 흘러가고 세월이 가듯이 이 해도 마지막 달력이 덩그러니 남아 한 해가 다갔음을 실감한다. 누구나 한번쯤 이때쯤은 자신의 부족한 점을 생각하게 하는 시점이어서 계절의 추이(推移)와 시간의 여울목이 감사하게 느껴진다. 종말은 시작의 첫머리이기도 하다. 마지막 한 달이 다가오는 새해를 더욱 값지게 보낼 수 있도록 다짐하게 하고 옷깃을 여미게 하는 것도 그 때문일까. 그래서 세모는 기독교인이 아니더라도 감사하는 마음으로 겸손해지는 계절이기도 하다. 어쩌면 올해도 나는 무의미한 시간의 흐름에 끌려 살아오지 않았는가 생각해 본다. 그래도 세월은 영원의 모습을 보여주고 인생의 심연으로 인도해 주었다. 세모는 지나온 길과 남은 길을 바라보고 생각하게 한다. 과연 인간은 어디에서 와 어디로 가는 것일까? 겨울하늘.. 더보기